티스토리 뷰
시스템 프로그래밍 수업은 아무래도 linux/unix 환경에서 진행되어야 하다보니 windows를 쓰고 있는 학생들은 wsl을 추가적으로 설치해야했다. 교수님이 말씀하신 대로 따라하기만 하면 되는 건줄 알았는데 컴시관을 이미 들었던 기억을 잠시 잊었던 것인지 역시나 호락호락하지 않았다. 교수님이랑 똑같이 하는 것 같은데도 뭐가 안되는 기적(?)
그래서 그냥 기록해버리기
1. 일단 windows store에서 windows terminal을 설치한다.
2. 다 깔린 windows terminal을 관리자 버전으로 설치한다.
3. wsl을 사용하기 위해서 활성화를 시켜줘야하는데 명령어는 아래와 같다
dism.exe /online /enable-feature /featurename:Microsoft-Windows-Subsystem-Linux /all /norestart
4. 그리고 나서 재부팅을 했는데 실질적으로 변하는 게 없었던 것 같다. -> 이 과정에서
5. linux 커널 업데이트 패키지 다운로드 및 설치
https://wslstorestorage.blob.core.windows.net/wslblob/wsl_update_x64.msi
위의 링크를 클릭하자마자 바로 설치가 되는데 실행을 했더니 또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았다. 내가 이상한 건가 컴이 이상한 건가 약간의 의문을 가졌지만 결국 필요한 패키지니까 미리 설치해두시길!
6. windows store에서 ubuntu를 설치한다. 이때 ubuntu 뒤에 버전이 붙어있는 것을 설치하면 ubuntu가 최신 버전이 나와도 처음 설치 시에 있었던 버전을 유지한다고 들었던 것 같다.
7. wsl 2와 wsl 1은 차이가 꽤 있다고 해서 wsl2를 기본 버전으로 설정하라고 하셨는데 이때 명령어는...
wsl --set-default-version 2
놀랍게도 이걸 해도 큰 변화가 없어서 좀 당황스럽기 시작했다. 눈에 보이는 변화가 있으면 좀 좋냐구요
8. 우분투를 실행해서 우분투의 기본 설정을 해야하는데 문제는 이때 발생했었다. 정확한 오류 코드는 0x8007019e.. 찾아보니 리눅스용 윈도우 하위 시스템을 체크하고 재부팅을 해야된다는 것을 알았다.
9. 재부팅하고 ubuntu를 다시 실행해보니 username이랑 pw 쓸 수 있게 되어 적고 ubuntu를 개발자의 입장에서 사용하기 쉽도록 기본적인 프로그램들을 설치 및 업그레이드하는 과정을 거쳤다.
sudo apt update
sudo apt upgrade
sudo apt install build-essential
sudo apt install vim
10. 위 과정이 상당히 오래 걸린다. (체감상 10분..? 덜 걸렸을지도..) 암튼 위의 과정이 다 끝나고 다시 windows terminal로 넘어와서 wsl -l -v 명령어를 통해서 지금 내 wsl 버전이 어떻게 되고 있는지 확인을 하고 wsl 2를 사용하기로 했으니까 만약 1이라면 변경해주는 과정이 필요하다.
wsl -l -v
11. 버전 확인 후 변경하는 명령어는 아래와 같은데 나의 경우는 제대로 실행이 되지 않았고 관련 메세지를 구글 창에 검색하기도 전에 5번 과정에서 설치했던 패키지를 떠올렸다. wls2 설정이 다 끝나지 않았다는 뉘앙스의 메세지가 떴기 때문에 약간은 예측할 수 있었다. 다시 설치 패키지 파일에 가서 확인해보니 아까와는 다르게 뭔가 설치할 것이 생겨서 설치를 마치고 다시 아래의 명령어를 실행했더니 성공적으로 반영이 되었고 10번의 명령어를 통해 버전을 확인해보니 제대로 2로 바뀌어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wsl --set-version Ubuntu 2
그리고 나서는 windows terminal을 켰을 때 바로 ubuntu로 뜨게 하는 자잘한 설정들을 몇 가지 했는데 그 부분은 간단하니 기록하지 않도록 하겠다.
3학년 1학기 첫 수업인데 벌써 .. 좀 헤맸다는 게 현타가 오지만 아직은 학기 시작을 위해서 머리가 슬슬 돌아가기 시작하는 단계니까 그럴 수 있다고 생각하고.. 한 학기동안 열심히 또 해봐야겠다.
'2학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2학기를 마무리하며... (0) | 2021.01.02 |
---|